인터넷에 쭈꾸미 낚시 포스팅 글들을 보면 쭈꾸미 낚시는 초보자들도 쉽게 잡을 수 있어서 누구나 즐기기에 좋다고 많이 나와있습니다.
실제로 쭈꾸미 낚시가 그렇게 쉽지 않다는게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어쨌든 연안에서 던질낚시로 올리기도 한 쭈꾸미 낚시는, 일단 제대로 낚으려면 배낚시가 유리합니다.
쭈꾸미 낚시는 매년 5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 금어기입니다.
산란기 쭈꾸미 개체 수를 보호하기 위해서 2018년부터 쭈꾸미 낚시를 금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쭈꾸미 낚시는 배낚시를 많이 하기에, 초보 분들은 낚시대 및 장비 들을 현지에서 빌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선상 쭈꾸미 낚시는 철저한 바닥 낚시이므로 빠르게 바닥을 찍어주고 바닥을 느끼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바닥을 읽지 못한다면 쭈꾸미 낚시는 조금 힘듭니다.
봉돌이 바닥을 찍었다면 라인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감은 후 바닥에 닿았다 떨어지길 반복하여, 주변의 쭈꾸미들을 유혹해 주면 됩니다.
쭈꾸미 낚시 할때 다음의 두 가지를 숙지 후 낚시하시면 좋습니다.
쭈꾸미 낚시 전 본인 채비의 무게 감각에 대한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
먼저 바닥에 채비를 내린 후 몇 번을 들어서 내 채비의 무게감을 익혀둡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로 낚시 도중 쭈꾸미가 올라탄 무게 차이를 느끼기 조금 쉬워집니다.
그 다음 채비를 입수 후 바닥을 찍고 1m ~ 5m 정도 몇 번의 릴링 연습입니다.
릴링 시 쭈꾸미가 잡혔을 때와 빈 채비의 무게감이 확연히 다르기에 이런 과정은 중요합니다.
바닥까지 채비 내림은 재빠르게 내려주고, 구슬바늘이 바닥에 닿도록 합니다. |
바닥을 읽으며 라인의 텐션을 유지해 줍니다. |
쭈꾸미가 에기에 올라탈 시간을 주며 입질을 기다립니다. 가끔 채비를 들었다 놓는 고패질을 해줍니다. 고패질을 봉돌이 바닥을 찍은 후 채비를 살짝 아주 들었다가 놓기를 반복해줍니다. 고패질 간격을 3 ~ 5초 간격 혹은 10 ~ 15 초 간격 등 다양한 의견이 있으나, 이 정도 범위에서 본인이 다양하게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
고패질과 함께 초릿대 끝을 2 ~ 3 cm 정도 살랑살랑 흔드는 유혹 동작을 해주면 더 좋습니다. |
입질은 주꾸미가 구슬바늘에 올라탄 상태로 이는 무게감으로 파악합니다. 낚싯대 초리가 은근하게 휘어들어가는 것도 입질입니다. |
무게감이 느껴지면 낚싯대를 위로 쭈욱 들어 훅킹 후 천천히 릴링 해주면 됩니다. 걸린 주꾸미는 일정한 무게감만 느껴질 뿐이다. 이를 감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감아 들입니다. 좋은 훅킹동작은 두 손으로 릴 잡고 위로 쭈욱 들어주는 만세 동작입니다. |
훅킹 후 멈추지 말고 릴링을 해줍니다. 릴링을 하다 멈춘다면 쭈꾸미가 빠져버립니다. 낚싯줄을 감아 들이는 속도가 갑자기 바뀌면 팽팽하던 낚싯줄의 장력이 깨져 놓치기 쉽습니다. 릴링 중 낚싯대를 숙여도 미늘이 없는 바늘이라 빠지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릴링 중 수면에 쭈꾸미가 보이면 낚싯대의 탄력을 이용해 단번에 들어 올립니다. |
주꾸미는 억지로 바늘에서 떼어내려 하지 않아도 바닥에 잠시 놔두면 바늘을 놓고 도망가려 하는데 이때 쭈꾸미를 회수하시면 됩니다. 채비가 초릿대 끝에 닿을 때까지 감아버리면 쭈꾸미를 떼내기 어렵고 그 과정에서 옆 사람에게 피해줄 수 있습니다. |
- 수심 1~15m 정도로서 조류의 흐름이 완만한 내만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특히 밑걸림이 없을 정도로 장애물이 비교적 적은 모래펄이 최적으로, 암반이나 완전한 진흙 펄에는 거의 없습니다. |
- 또한 주꾸미 먹이가 되는 바지락과 같은 조개류가 풍부한 장소가 좋은 포인트입니다. |
- 좋은 포인트라 하더라도 맑은 날씨, 파도가 잔잔한 날, 물이 맑을 때 잘 낚입니다. 시간적으로는 아침저녁 시간에 잘 낚이며, 한낮에는 고둥 껍데기나 돌 틈에 들어가 숨어있기는 하지만 자신의 영역 안으로 들어온 먹이는 과감히 공격하는 습성이 있어 대낮에도 낚입니다. |
- 주꾸미는 자신의 영역 안으로 들어온 먹이는 과감히 공격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1분 정도 기다려도 입질이 없다면 주위에 주꾸미가 없는 경우이므로 1~2m 간격으로 채비를 이동시켜 봅니다. |
- 주꾸미를 걸었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낚싯줄의 장력을 같은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빠르게 감아올려야 합니다. 릴링 속도를 바꾸거나 낚싯대의 탄력에 변화가 있으면 바늘에서 빠져나가기 쉽습니다. |
- 가끔 고둥 껍질이나 큰 조개가 매달려 올라오는 경우도 있는데, 십중팔구 그 안에는 주꾸미가 들어있습니다. |
낚싯대 로드 |
- 길이 2.4m 전후의 연질 외줄 낚싯대나 빼내기식 다용도 릴이면 됩니다. - 길이 1.8~2.1m의 민물용 배스 낚싯대나 라이트 지깅 대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 커틀피쉬 1602, 디그라블 쭈갑대, 이이다코bb |
릴 | - 소형~중소형 스피닝 릴 또는 베이트캐스팅 릴이 적합합니다. - 배스용 낚싯대나 라이트 지깅 대를 사용한다면 베이트캐스팅 릴이 어울립니다. - 베이트릴 5점대, 우라노인쇼어, 도요 올터레인3, 바낙스 아키스 |
낚싯줄 | - 원줄은 PE 1~2호를 감습니다. - 나일론 3~4호를 감아도 특별히 문제는 없습니다. - PE 라인을 원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래를 이용해 목줄로 나일론이나 플로로카본 2~3호를 1m 정도 연결합니다. 원줄로 나일론 라인을 사용한다면 목줄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채비(바늘) | - 쭈꾸미낚시용 바늘은 하얀색의 사기로 만든 구슬에 납과 갈고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쭈꾸미 구슬바늘 이라고 부르는 이를 목줄에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 주꾸미는 흰색을 선호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꼭 구슬바늘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갈고리바늘에 흰색 플라스틱 조각이나 흰색 비닐 파이프 등 흰색이라면 뭐든지 부착해 사용해도 좋습니다. - 일투 다수확을 노리거나 갑오징어를 동시에 노리는 경우에는 구슬바늘을 채비의 맨 아래에 부착하고 가지바늘 형식으로 목줄을 사용하여 갑오징어용 슷테(오징어뿔)를 2~3개 추가합니다. - 싸다오피싱, 우리에기, 손피싱 |
봉돌 | - 봉돌을 보통 가볍게 쓰라고 하는데 8호, 10호, 12호, 14호까지는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 - 고수분들은 10호 전후로 가볍게 쓰지만 초보들은 꼭 그들을 따라할 필요는 없습니다. - 초보일 경우 바닥 읽기에 좀 더 유리한 12 ~ 14호 추천합니다. |
갈치 낚시 가이드 / 특징 및 운용법, 채비 추천
바다낚시는 계절별로 갈치, 문어, 감성돔, 줄돔 , 벵에돔, 고등어낚시 등 낚시 시즌이 모두 틀립니다. 지금은 바로 갈치낚시 시즌입니다. 요즘 핫한 바다낚시 중에 갈치낚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
kingamin.tistory.com
풀치 낚시 정리글 / 로드 릴 채비 등 포함
풀치는 갈치의 새끼를 가리킵니다. 이런 풀치는 7월 한달 금어기이고, 보통 8월부터 시작해서 10월까지가 풀치 시즌입니다. 금어기가 해제되어도 포획금지 체장[풀치 금지 체장 : 항문장(머리부
kingamin.tistory.com
문어낚시대 고르는 법 및 채비, 봉돌, 에기
여름에 즐기는 낚시 중 하나가 바로 문어 낚시입니다. 문어 낚시는 동해, 서해, 남해 다 가능합니다. 생명력이 끈질기고, 힘 좋고 머리 좋기로 소문난 문어를 낚기 위해서는 전용대는 필수라고
kingamin.tistory.com
긴꼬리벵에돔 낚시 가이드 패턴 및 습성
갯바위 낚시꾼이라면 누구나 선망하는 꿈의 대상어, 그리고 손마스 입맛, 찌 맛 모두가 으뜸인 긴 꼬리 뱅에돔 입니다. 긴꼬리벵에돔이란?- 긴꼬리 벵에 돔은 벵에돔과 외모가 유사하여 오랫동
kingamin.tistory.com
낚시대 루어대 고르는 법 및 추천 제품
낚싯대는 흔히 로드라고 합니다. 로드는 그 종류와 용도에 따라 정말 다양합니다. 그렇기에 입문자, 초보자 심지어 중급자들도 그때 그때 적합한 로드가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kingamin.tistory.com
낚시줄 종류(합사, 나일론줄, 카본줄) 특징 및 장단점, 추천 제품
낚시줄을 낚시대에 채비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줄입니다. < 원줄 과 목줄 > 원줄 원줄은 릴(Reel)에 감겨 있는 메인줄을 말합니다. 찌와 쿠션고무, 도래 등 제기능을 발휘해 물속에서 올바르게
kingamin.tistory.com
낚시 뜰채 인기 추천 제품 특징 및 장단점 (58) | 2023.11.04 |
---|---|
낚시화 고르는 법 가이드, 추천 제품 (5) | 2023.09.22 |
갈치 낚시 가이드 / 특징 및 운용법, 채비 추천 (22) | 2023.09.12 |
긴꼬리벵에돔 낚시 가이드 패턴 및 습성 (3) | 2023.09.07 |
낚시 구명조끼 고르는 법 및 꿀팁 (13) | 2023.08.17 |